로고

18회 여성인권영화제 : 우리가 행진할 때

#

한국여성의전화

#

한여전

#

여성인권영화제

#

피움

#

후원

한국여성의전화

한국여성의전화는 여성폭력 없는 사회, 성평등한 사회를 위해 활동합니다.

한국여성의전화

한국여성의전화는 여성폭력 없는 사회, 성평등한 사회를 위해 활동합니다.


2006년, '극장에서 단 두 시간만이라도 여성인권에 대해 생각해보자'는 단순한 진심으로 시작한 여성인권영화제 

 

여성인권영화제 피움(Film Festival for Women’s Rights, FIWOM)은 일상적으로 일어나는 여성폭력의 현실과 심각성을 알리고, 피해자의 생존과 치유를 지지하는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한국여성의전화 주최로 2006년에 시작된 영화제입니다. '여성에 대한 폭력'과 '여성인권'이라는 주제를 다루는 국내·외 영화들과 함께 자신의 삶과 인권을 찾아가는 용감한 여성들의 이야기가 활짝 피어나길 소망합니다. 

 

 

우리가 행진할 때! 18회 여성인권영화제가 돌아옵니다.

 

1️⃣ 18회 여성인권영화제 ‘우리가 행진할 때’

 

✅ 일시 : 2025년 6월 25일(수) ~ 29일(일)

✅ 장소 : 아트나인 (4,7호선 총신대입구(이수)역 7번 출구 앞)

 

✅ 프로그램  

- 여성폭력 근절 메시지를 담은 이벤트와 부대행사

- 국내 여성인권영화 제작 감독 출품, 심사, 시상

- 국내 개봉된 적 없는 해외 여성인권영화 상영

- 개·폐막식 / 섹션 1 '여전히 아무도 모른다' / 섹션 2 '일상과 투쟁의 나날들' / 섹션 3 '그대 마음과 만나, 피움' / 피움톡!톡! / 감독과의 대화 등

 

✅ 일반 티켓 가격 : 8,000원

 

✅ 영화 정보 및 상영시간표 공개 : 6/12 예정   

✅ 패키지 티켓 선예매 오픈 :  6/16 예정 

✅ 일반 티켓 예매 오픈 : 6/20 예정 

 

📌상영시간표 및 패키지티켓, 일반 티켓 관련 안내는 위의 일정에 맞춰

       한국여성의전화 홈페이지 / SNS 등을 통해 공지드립니다.

 

 

2️⃣18회 여성인권영화제 '우리가 행진할 때' 후원 및 리워드 안내

 

후원으로 여성인권영화제를 함께 만들어주세요!

18회 여성인권영화제에 후원으로 함께하시면, <18회 여성인권영화제> 패키지 티켓을 드립니다. 

 

✨ 후원리워드 구성 ✨ 

 

후원금액

후원 리워드

상세 내용

50,000원

FIWOM FAN

패키지 티켓

상영작 7회 관람 가능

(피움톡톡, GV 회차 포함)

일반예매 오픈 전 패키지티켓 전용

선예매 이용

100,000원

FIWOM MANIA

패키지 티켓

상영작 15회 관람 가능

(피움톡톡, GV 회차 포함)

일반예매 오픈 전 패키지티켓 전용

선예매 이용

+ 영화제 공식굿즈(손수건) 증정

+ 영화제 추진위원 등재

200,000원

FIWOM MASTER

패키지 티켓

상영작 30회 관람 가능

(피움톡톡, GV 회차 포함)

일반예매 오픈 전 패키지티켓 전용

선예매 이용

+ 영화제 공식굿즈(티셔츠) 증정

+ 영화제 추진위원 등재

 

 

💡 참고사항 💡

- 패키지티켓 전용 선예매는 좌석 지정이 불가합니다. 다만 가급적 상영관 내에서 보다 쾌적한 자리로 배정하여, 현장 도착 순으로 티켓을 배포합니다.

- 패키지티켓의 기념용 티켓은 후원자(입금자) 이름으로 현장에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 패키지티켓은 후원 시 입력해주신 휴대전화 번호로 발송되는 선예매 링크를 통해 사전예매 후 관람하실 수 있습니다. 사전 예매 없이 현장 발권 시 매진으로 관람이 어려울 수 있음을 양해부탁드리며, 선예매를 적극 이용해주시길 바랍니다. 

- 패키지티켓 선예매링크는 6/16(월) 영화제 후원 시 입력해주신 연락처로 개별 문자 등으로 공지예정입니다. 

- 선예매 및 현장 발권, 기타 티켓 이용 및 상영관 안내는 여성인권영화제 홈페이지와 SNS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문의 : 한국여성의전화 영화제 티켓팀(02-3156-5481))

 

 

3️⃣ 여성인권을 문화로 만나다 - 한국여성의전화 여성인권영화제 돌아보기

 

 

1회 여성인권영화제 ‘여전히, 아무도 모른다’ / 7개국 31편 상영
2회 여성인권영화제 ‘친밀한, 그러나 치명적인’ / 6개국 33편 상영
3회 여성인권영화제 ‘경계를 넘어 길이 되다’ / 12개국 35편 상영
4회 여성인권영화제 ‘시작했으니 두려움 없이’/ 13개국 35편 상영
5회 여성인권영화제 ‘밝히다’ / 6개국 36편 상영
6회 여성인권영화제 ‘탐정’ / 11개국 33편 상영
7회 여성인권영화제 ‘직면의 힘’ / 12개국 25편 상영
8회 여성인권영화제 ‘질주’ / 13개국 29편 상영
9회 여성인권영화제 ‘고백의 방향’ / 19개국 29편 상영
10회 여성인권영화제 ‘단순한 진심’ / 13개국 46편 상영
11회 여성인권영화제 ‘지금, 당신의 속도로’ / 12개국 35편 상영
12회 여성인권영화제 ‘서로의 질문과 대답이 되어’ / 21개국  51편 상영
13회 여성인권영화제 ‘이제 멈출 수는 없어’ / 18개국 57편 상영
14회 여성인권영화제 ‘우린 흔들리지 않지’ / 22개국 58편 상영
15회 여성인권영화제 ‘현재의 조건으로 미래를 상상하지 말 것’ / 14개국 54편 상영
16회 여성인권영화제 ‘넘어서는 사람들’ / 15개국 47편 상영

17회 여성인권영화제 ‘우리는 마주 앉아서’ / 14개국 48편 상영

 

 

2006년 1회 여성인권영화제 개최,

한 해 평균 영화제 운영스텝 100여명, 관객 3,000여명 참여,

개·폐막식, 감독과의 대화, 피움톡톡, 관객 참여 이벤트 운영까지!

 

여성인권영화제는 영화를 통해 성평등 의식을 확산하고,

여성폭력에 대한 시각을 '사건' 중심에서 '일상의 폭력'으로 확장하며,

기존 매체에서 비가시되어 온 다양한 삶을 만나는 장입니다.

단순한 문화행사를 넘어 현실 속 문제를 심도있게 다루어 사회 변화를 이끌 뿐 아니라 문화적인 전달방식을 통해 대안을 창출합니다. 또한 '여성에 대한 폭력과 인권'이라는 주제에 집중하여 접근함으로써 타 영화제와 차별화됩니다. 

 

 

📢 이런 것들을 진행했어요!!
  

 

지난 영화제의 뜨거운 열기를 확인하시고 싶다면? 후기로 만나보시죠!

✅ 17회 여성인권영화제 '우리는 마주 앉아서' 후기 보러가기🙌

 


📞 문의

*행사 문의 : 한국여성의전화 영화제 사무국 (02-3156-5453)

*후원 문의 : 한국여성의전화 영화제 티켓팀 (02-3156-54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