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그래픽 크리틱≫과 한국 그래픽 디자인사 쓰기의 문제

#

디자인

#

페미니즘

#

비평

50명이 선착순으로 마감되어 더 넓은 공간을 구했습니다!

대관료에 돈 다 쓰지 않게 많이 많이 신청해주세요! 😂

 


 

FDSC HAKDANG은 2021년 시작된 페미니스트 디자이너 소셜클럽(FDSC)만의 특별한 강연시리즈 입니다. FDSC HAKDANG은 디자이너(혹은 비디자이너)가 자신의 사회적 역할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생산의 관점을 틀어내는 공간을 만들기 위해 기획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나의 삶에서 손에 잡히는 변화를 시작할 수 있도록 촉진합니다.

 

이는 단지 디자이너 개인의 변화나 업계의 질서를 바꾸는 것을 너머 이미지로 포화된 사회에서 그 이미지들의 본질을 바꿔내는 일입니다. 더 나아가 사회적 불평등과 단절을 해소에 필연적인 단계이기도 합니다. 이미지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에게나 추천해요!

 

2025년 FDSC HAKDANG은 좀 더 가볍고 유연한 형태로 대화의 자리를 만들고자 합니다.

FDSC의 서포터(후원회원)가 되어 이 여정에 함께해주세요

 

 


FDSC HAKDANG LITE 첫번째 시간

 

서핑보드 위의 역사 쓰기

: ≪그래픽 크리틱≫과 한국 그래픽 디자인사 쓰기의 문제

 

 

그래픽 크리틱≫은 디자인 저술가 전가경이 지난 5년간 한국연구재단 저술출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개인 연구 프로젝트의 결과물이다. 이 작업은 지난 10여 년간 ‘한국 그래픽 디자인’을 주제로 다양한 매체에 기고하거나 자발적으로 수행한 글들을 갈무리해, ≪한국의 그래픽 디자인 1970~2020≫이라는 제목의 단행본으로 묶으려는 데서 출발했다. 그러나 예상보다 작업의 스케일이 커졌고, 그만큼 시행착오도 적지 않았다. 수많은 고민을 거쳤지만, 여전히 한계와 아쉬움이 남는다.

 

이번 강연은 ≪그래픽 크리틱≫이라는 책을 매개로, ‘한국 그래픽 디자인사 쓰기’가 지닌 난점과 윤곽을 서핑보드 타기라는 은유를 통해 되짚어보려는 시도이다. 고르지 않은 파도 위에서 균형을 잡고 방향을 가늠해야 했던 기록의 여정, 그 과정을 세 개의 파트로 나누어 공유한다. 1부에서는 ≪그래픽 크리틱≫의 집필 후기이자 서론으로서, 이 책이 시도한 ‘울퉁불퉁한’ 역사기술학의 의미를 살펴보고, 참고문헌 목록에는 담지 못했지만 실제로는 이론적 밑받침이 되었던 주요 책들과 후속 과제에 대해 이야기한다. 2부에서는 사전에 수합한 질문들을 바탕으로 보충 설명을 이어간다. 3부는 즉석 질의응답으로 마무리된다. 각 파트는 30분씩 배정되어 있지만 실제 구성은 유동적이다. 가령 1부가 비대해지고 3부가 축소될 수도 있다. 사실, 이러한 흐름의 불균형 자체가 이 작업을 ‘서핑보드 위의 역사 쓰기’로 비유하게 된 이유이기도 하다.

.  

 


 

 

전가경           그래픽 디자인에 대해 연구하고 글을 쓰고 강의하며, 대구에서 '사월의눈'이라는 이름으로 사진책을 기획하고 만든다. 박사 논문 잡지 ≪뿌리깊은 나무 연구: 이미지와 텍스트의 관계를 중심으로≫(2017)를 발표했고, 공백으로 놓여 있는 한국 그래픽 디자인 역사를 출판 기획 및 저술을 통해 채우는 데 관심이 있다. ≪세계의 아트디렉터 10≫ ≪세계의 북 디자이너 10≫ 및 인터뷰집 ≪펼친 면의 대화≫ 등을 썼고, 한국 시각 디자인 역사의 단면을 담은 ≪한국의 90년대 전시 도록 xyz≫와 ≪정병규 사진 책≫, 이미지와 텍스트의 관계를 통해 지역성을 탐구하는 ≪리듬총서≫를 기획했다. 2025년 전주국제영화제 ≪100 필름 100 포스터≫ 총감독을 맡았다. 

 

책 보러 가기     https://agbook.co.kr/books/graphic-critique

 

≪그래픽 크리틱≫은 당일 현장 강연 장소에서도 10%할인 된 금액으로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을 책들도 준비할 예정입니다. 현장 판매 수익금의 20%는 FDSC가 더 많은 담론의 장을 여는데 후원됩니다.  협력해주신 안그라픽스에 감사드립니다.

 


강연 개요

 

일시

2025년 8월 14일(목) 오후 7시~9시 

 

장소

헤이그라운드 성수 시작점(서울 성동구 뚝섬로1나길 5) 지하 1층 HALL

 

수용인원

최대 120명

 

참가비

  • 신규 서포터 회원(정기 후원) 등록시 무료!
  • FDSC 회원 5,000원
  • 비회원 20,000원이상 자율 후원 

 

참가 방법

  • 신규 서포터 회원: 정기후원 → 원하는 금액 선택 혹은 입력
  • FDSC 기존 회원: 일시후원 → 5,000원 선택
  • 비회원: 일시후원 20,000원 이상 선택 혹은 입력

 

🔴 북토크 참석이 아닌 단순 후원을 원하실 경우 '문의 사항'에 단순 후원이라고 적어주세요.

🔴 위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단순 후원으로 간주하여 북토크 입장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예. 비회원 5,000원 후원)

 

참가 신청 마감

2025년 8월 12일(화) 오후 11시 59분

 

문의

담당자. 신인아 info@fdsc.kr

 


환불 안내

 

일시후원 및 자율 후원금은 기부금으로 사용되어 단순 변심, 신청자 개인 사정에 의한 환불은 불가합니다.

FDSC 후원금의 사용과 사용 보고서는 후원 페이지에서 자세히 보실 수 있습니다.